UXBooster - Generator
를 선택합니다.

Generator
를 실행하면 제일먼저 데이터소스 관리 화면이 나옵니다.
생성할 소스의 대상이 될 Table이 저장된 DB의 접속정보를 관리 할 수 있습니다.
- 등록 : 데이터소스 등록 팝업
- 수정 : 선택한 데이터소스 수정 팝업
- 삭제 : 선택한 데이터소스를 삭제
- 연결 테스트 : 선택한 데이터소스의 연결 테스트 실행

등록버튼 클릭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데이터소스를 등록합니다.

DB 연결 정보 입력
DB 연결 정보를 입력합니다.
연결 테스트
버튼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 ID : 사용할 데이터소스의 명칭으로 자유롭게 입력(중복방지)
- Vendor : DB 종류
- Library Path : 드라이버 파일의 경로(사용중인 DB에 맞는 드라이버를 선택)
- Driver : 드라이버 파일에서 제공되는 클래스(Vendor 선택 시 자동입력)
- Host : DB Server IP
- Port : DB Server Port
- Database : DatabaseName 또는 SID
- Username : 접속계정
- Password : 접속암호

사용할 데이터소스를 선택 후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Table이 속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스키마를 선택합니다.

데이터베이스(스키마)를 선택하면 좌측에 테이블 목록이 표시됩니다.
테이블을 선택하면 우측상단에 컬럼정보, 우측하단에 데이터(최대 5건)이 표시됩니다.

생성할 테이블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테이블을 선택하면 템플릿을 관리하는 화면이 표시됩니다.
- 등록 : 템플릿 등록 팝업
- 수정 : 선택한 템플릿 수정 팝업
- 삭제 : 선택한 템플릿을 삭제

기본 템플릿 제공
UXBooster Framework 패턴의 Nexacro
, React
템플릿을 기본제공합니다.
- Nexacro용 템플릿
- Controller
- Service
- Mapper
- React용 템플릿
- Controller
- Service
- Mapper
- InfoDTO
- SearchDTO
등록버튼 클릭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템플릿을 등록합니다.

템플릿 정보 입력
템플릿 정보를 입력합니다.
- 템플릿명 : 사용할 템플릿의 명칭으로 자유롭게 입력(중복방지)
- 템플릿 경로 :
Apache FreeMarker
문법으로 작성된 uxbt
확장자 파일
- 파일명(접두어) : 생성될 파일의 접두어(접두어, 접미어 중 하나만 입력 가능)
- 파일명(접미어) : 생성될 파일의 접미어(접두어, 접미어 중 하나만 입력 가능)
- 확장자 : 생성될 파일의 확장자
- 루트경로 : 생성될 파일의 클래스패스
- 패키지(상위) : 생성될 파일의 상위 패키지 경로(상위, 하위 중 하나만 입력 가능)
- 패키지(하위) : 생성될 파일의 하위 패키지 경로(상위, 하위 중 하나만 입력 가능)
- 사용여부 : 사용여부가
Y
인 템플릿만 소스 생성 시 사용

템플릿 작성
템플릿 파일 작성 시 UXBooster Plugin
의 변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 문법은 공식사이트
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스 생성에 사용할 템플릿을 선택 후 Cre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처럼 소스 생성이 완료됩니다.
